[RDS] 왜 RDS의 자동백업을 활성화 하면 RDS가 재시작될까? Contents 개요 RDS의 자동백업 활성화를 위해 AWS 공식문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존재한다. - 공식문서 :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RDS/latest/UserGuide/USER_WorkingWithAutomatedBackups.html 자동 백업을 활성화하면 RDS 인스턴스 및 데이터베이스가 오프라인으로 설정되고 백업이 즉시 생성됩니다. 단순히 백업만 활성화하는 작업인데 왜 자동백업을 활성화를 하게 되면 오프라인으로 설정이 된다는 걸까? 이유를 알기전에 우선 DB가 데이터를 PITR 백업과 WAL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WAL (Write-Ahead Log) Write-Ahead Log 방식 (이하 WAL)은 DB의 ACID 특성 중 일.. AWS/데이터베이스 2년 전
[RDS] Aurora의 Read, Write 방식 Aurora와 RDS의 차이점 Aurora와 RDS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스토리지에서 온다. Aurora는 Primary와 Replica끼리 스토리지를 공유하여 사용(Storage Cluster)하지만 RDS는 각각의 EBS 볼륨을 사용한다. Storage Cluster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Aurora는 내부적으로 Read, Write 시 RDS와는 다른 아키텍처를 가진다. 기본적으로 Aurora는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총 3개의 AZ를 가지고 각각의 AZ별로 2개의 스토리지 영역을 두고 있다.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Aurora는 Quorum방식으로 Read, Write를 처리한다. 스토리지 영역이 6개이기 때문에 Read는 6개 중 3개의 스토리지에서 성공해야 완료이고 Wrti.. AWS/데이터베이스 3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