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File Descriptor (파일 디스크립터) Contents ➡️ File Descriptor란? Unix 계열의 OS에서 파일을 액세스 할 때 사용되는 추상적인 표현이다. 일반적으로 0이 아닌 정수값을 갖는다. Unix 파일 시스템에서는 모든 것을 파일로 관리하는데 (일반파일, 디렉터리, 소켓, 파이프 등) 프로세스가 파일들을 접근할 때 File Descriptor라는 개념을 이용하는 것이다. ✅ File Descriptor 할당 흐름 프로세스가 파일을 Open한다. 커널은 해당 프로세스의 File Descriptor 숫자 중 사용하지 않는 가장 작은 값을 할당해 준다. 프로세스가 File Descriptor를 통해 파일에 System Call을 이용하여 접근한다. ✅ File Descriptor의 고정값 File Descriptor의 값 중 0.. Computer Science/OS 2년 전
[CPU] Hyper Threading (하이퍼 쓰레딩) Contents Hyper Threading (하이퍼 쓰레딩) Intel의 CPU 칩에서 하나의 CPU 코어에서 논리적으로 두개의 스레드를 사용하게 하는 기술이다. OS는 해당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으면 코어를 2배로 인식한다. AMD에서는 하이퍼 스레딩과 유사한 SMT라는 기능을 제공함. 장점 멀티 스레딩 처리 시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 Intel에서는 최대 30% 정도까지의 처리량 향상이 된다. 단점 HPC 워크로드 같은 경우 해당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오히려 성능에 안좋을 수 있다. AWS에서는 해당 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을까? 인스턴스 유형마다 다르다. (활성화 되어있는 인스턴스도 있고 비활성화 되어있는 인스턴스도 있음) 활성화의 여부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코어당 기본 스레드 항목.. Computer Science/OS 2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