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과정

Cloudfront의 Edge Location과 REC를 도식화한 다이어그램

  • 1. 사용자가 DNS에 Request 한다.
  • 2. DNS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Edge Location으로 라우팅한다.
    • 지연 시간이 가장 낮은 Edge Location으로 라우팅 된다.
  • 3. Edge Location에서 해당 요청에 대해 캐싱 여부를 확인한다.
    • 3-1. 캐시가 있다면 사용자에게 캐시를 Response 해준다.
    • 3-2. 캐시가 없다면 가까운 Regional Edge Caches(REC)에 요청을 라우팅한다.
      • 3-2-1. 캐시가 있다면 콘텐츠를 요청한 Edge Location에 Response해준다.
      • 3-2-2. 캐시가 없다면 Origin으로 요청을 전달한다.
  • 4. REC와 Edge Location에 조금 전 Response한 콘텐츠의 캐시를 저장한다.
💡 REC에 캐싱을 함으로써 그 지역의 모든 Edge Location에서 로컬 캐시가 공유된다.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