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Common

용량 표현 단위에 대하여 (KB, KiB, MB, MiB, GB, GiB...)

oompa-rumpa 2023. 2. 15. 21:33

용량 표현의 최소 단위인 바이트는 (Byte)는 이진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1KB는 1,024Byte이다.

기본 단위의 사이즈가 커질 때 붙는 접두어에서 십진법 표기와의 차이가 아래와 같이 발생한다.

  • 이진법 Prefix (Binary Prefix)
    • K = 1024
    • M = 1024^2
    • G = 1024^3
    • T = 1024^4
  • 십진법 Prefix (Decimal Prefix)
    • K = 1000
    • M = 1000^2
    • G = 1000^3
    • T = 1000^4

1,024Byte나 1,000Byte나 큰 차이가 나지 않고 대강 보았을 때 비슷하기 때문에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1KB를 1,024Byte가 아니라 1,000Byte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용량이 적을 경우에는 차이가 그리 크지가 않아 괜찮았지만 GB의 용량을 사용하게 되면서 1000과 1024의 상승의 차이가 훨씬 커지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표현단위에 따른 용량의 차이는 점점 심해졌고 컴퓨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혼란이 커지게 되었다.

  • ex) 하드 디스크 제조사에서는 십진법으로 계산을 하여 GB를 명시했는데 구매하는 고객들은 이진법으로 계산을 하는 등..

십진법과 이진법 표기시의 용량 차이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A7%84_%EC%A0%91%EB%91%90%EC%96%B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98년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서 새로운 표기법을 만들었다.

  • 바로 사이에 “i”를 추가하여 MiB를 추가한 표기법이 나왔다.
십진 접두어 (SI 접두어) 이진 접두어
기호(이름) 기호 기호(이름) V값
KB (킬로바이트) 1000^1 = 103 KB 1024^1 = 210 KiB (키비바이트) 2^10
MB (메가바이트) 1000^2 = 106 MB 1024^2 = 220 MiB (메비바이트) 2^20
GB (기가​바이트) 1000^3 = 109 GB 1024^3 = 230 GiB (기비바이트) 2^30
TB (테라바이트) 1000^4 = 1012 TB 1024^4 = 240 TiB (테비바이트) 2^40
PB (페타바이트) 1000^5 = 1015 PB 1024^5 = 250 PiB (페비바이트) 2^50
EB (엑사바이트) 1000^6 = 1018 EB 1024^6 = 260 EiB (엑스비바이트) 2^60
ZB (제타바이트) 1000^7 = 1021 ZB 1024^7 = 270 ZiB (제비바이트) 2^70
YB (요타바이트) 1000^8 = 1024 YB 1024^8 = 280 YiB (요비바이트) 2^80

 

이제 KB는 1,000Byte이고 새롭게 추가된 표기법인 KiB는 1,024Byte이다.